SNAPSHOT2 min read

강경론으로 기울기 시작한 연준의 기조

2022년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서 연준(Fed)이 수동적인 태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질 것입니다.

2021년6월24일
hawk
Read full reportSnapshot_강경론으로 기울기 시작한 연준의 기조_202006
0 페이지660 KB

키이쓰 웨이드(Keith Wade)

슈로더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전략전문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최근 정례회의는 정책 기조의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았지만, 향후 정책 기조는 분명 강경론 방향으로 기울었고, 이는 시의 적절했다는 것이 당사의 판단입니다.

회의 결과에 대한 성명서에서는 달라진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진전으로 코로나 관련 하방 위험이 감소한 것은 연준(Fed)도 확실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틀 간 열린 FOMC 회의 후 공개된 성명서는 연준의 경제 전망과 18명의 위원들이 예상한 금리를 나타내는 “점 도표(dot plot)” 차트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습니다.

올해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향 조정은 서프라이즈가 아니었지만 그러나 2023년 말 금리 인상을 전망한 FOMC 위원들의 수가 증가한 것은 시장의 허를 찔렀습니다.

점 도표 상에서 2023년 말의 중간 값은 0.625% 상승했습니다. 해당 회의가 열리기 전 시장은 현재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었습니다. 중간 값은 변동 없이 유지되었지만 2022년 말까지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위원들의 수도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기자회견 자리에서 파월(Powell) 연준 의장은 FOMC가 현재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 논의”를 했다는 것과 경제 재오픈 과정에서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고려하여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고 더 오래 지속될 가능성”을 인정했습니다.

연준의 예상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상승은 일시적인 것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를 볼 때 2021년에 대한 예상치에는 상당한 변동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연준의 행보가 당사의 자체적인 예상에 더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하고, 당사는 중앙은행이 올해 말에 테이퍼링을 시작하고 2022년 말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가 그렇게 예상하는 이유는 긍정적인 전망이 지속되고 있고 올해 2분기와 3분기에 견조한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에 당사는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이 일시적인 것으로 판명될 지라도 향후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생산량 격차가 해소되고 경제가 과열되면서 인플레이션은 2022년에 다시 상승할 것입니다. 연준은 이러한 환경에서 수동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며,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가피해질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증가하면 임금 상승 압력이 강해져서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              *              *

 

 

슈로더투신운용의 시장 리포트는 아래 링크에서도 확인하실 있습니다.

https://www.schroders.com/ko/kr/asset-management/insights/

 

Read full reportSnapshot_강경론으로 기울기 시작한 연준의 기조_202006
0 페이지660 KB

Topics

Snapshot
경제 전망
경제
미국

당사는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금융투자상품은 운용결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예시 목적에 한하며, 위에 언급된 증권/섹터/국가로의 투자를 추천하는 것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당사 홈페이지에 표시된 대표펀드는 저희 슈로더 그룹의 시장전망 및 투자전략을 고려하여 슈로더투자신탁운용이 국내 설정된 펀드 중 투자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선정한 펀드들입니다. 이러한 대표펀드는 슈로더그룹의 시장전망 및 투자전략의 변경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슈로더가 제공하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매입 또는 매도 제의나 권유를 위하여 운영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투자결정도 본 사이트 정보에 의존하여서는 아니됩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자산가격 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자는 금융투자상품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회사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들을 권리가 있으며, 가입 전에 투자대상, 투자위험, 환매방법, 보수 및 수수료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또는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외화자산은 환율변동에 따라 자산가치가 변동되거나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상황 및 과세제도 변동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나 전망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슈로더투자신탁운용(주) 03161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26(공평동), 센트로폴리스 A동 15층 / 대표이사: 정은수 / 사업자등록번호: 104-81-6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