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인 투자자가 한 단어로 요약한 투자의 비밀
자금을 성공적으로 70년간 운용해온 워렌 버핏의 우상 중 한 명은 장기투자의 비밀을 한 단어로 요약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Authors
전세계적으로 전설적인 투자자를 찾아보면, 필립 카렛 (Philip Carret)이라는 이름은 그들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아래 차트에도 나와있듯이, 성공적인 투자기간 기준으로만 봤을 때, 그는 워렌 버핏과 같은 선상에서 나열된 수 있는 몇 안되는 투자자들 중 한 명입니다.
차트 1: 저명한 투자자들의 S&P500 지수 대비 초과 성과(근사치, 분배금 재투자)

Source: 'Excess Returns’ by Frederik Vanhaverbeke
실제로, 투자자로서 활동한 햇수를 살펴보았을 때, 워렌 버핏이 필립 카렛을 쫓아가려면 아직 조금 더 남았습니다. 워렌 버핏은 필립 카렛을 자신의 ‘영웅’이라고 말합니다.
차트 1은 전세계의 여러 전설적인 투자자들이 뮤추얼 펀드를 운용한 기간을 나타냅니다. 카렛의 경우, 1928년 파이어니어 펀드(Pioneer Fund)를 출시하며 전세계에서 4번째로 뮤추얼 펀드를 설정하였으며, 1998년 101세에 생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적극적인 투자활동을 펼쳤습니다. 그는 ‘활발한 투자’를 했지만, 그러면서도 가장 엄격한 기준을 두고 투자하였습니다.
70년이 넘는 기간동안, 대공황,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수많은 시장주기를 거쳐 활동해온 가치 투자자로서 그가 말하는 첫번째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공적인 장기 투자를 위해서는 강한 정신력을 바탕으로한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그가 경험적으로 관측한 내용 중 기억에 남은 내용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매거래를 자주 하는 사람들이 부자로 생을 마감하는 경우는 적다, 오히려 인내심이 강한 투자자들이 그런 경우가 많다.’
이는 아주 단순한 메시지여서, 많은 투자자들은 장기적으로 부를 쌓는 방법으로 받아들이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말의 유효성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저희는 가치에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인내심이란 말에 동의합니다. 다만, 이는 장기 투자자들 역시 인내심을 갖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면적으로 인내심이란 매우 단순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가치투자의 중요한 특징들이 이에 포함됩니다. 때론 시장의 움직임과 역행해서 투자할 수 있는 결단력, 절제력, 그리고 의지를 포괄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이는 다음의 ‘가치투자’에 대한 ‘명언’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욕심낼 때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이 두려워할 때만 욕심을 낸다’
‘하락장에서 가장 많은 부를 쌓게 된다 – 단지, 그 시점에는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할 뿐이다’
첫번째는 워렌 버핏의 명언이며, 두번째는 셸비 쿨롬 데이비스 (Shelby Cullom Davis)의 말입니다. 그는 카렛과 같이 가치투자의 거장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진 투자자 입니다.
카렛의 투자에 관한 지혜를 조금 더 알리기 위해서 그의 명언 10가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는 그의 저서인 ‘A Money Mind at 90’ 에서 강조된 3가지 교훈 중에서 정리하였습니다.
투자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첫번째 덕목은 인내심이다
‘성공적인 장기 투자를 위해서는 인내심과 정신력이 필요하다’
‘나보다 훨씬 똑똑한 사람들[투자자들]은 많지만, 투자에 적합한 사고방식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한번의 투자 실패] 이후, 길을 잃게 되기까지의 심리적 과정을 짚어보았다. 내 자존심이 걸림돌이었다’
시장의 투자시기를 맞추려하는 것은 소용없다 – 꾸준한 투자를 하라
“주식시장과 경기주기 사이에 단지 모호한 상관관계만 발견되며, 시장의 움직임은 경기주기보다 훨씬 크고 과격하다”
‘나는 장기 투자를 한다. 나는 경기침체기를 여러 번 겪었으며, 다시 한번 그런 시기를 만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시장의 투자시기를 맞추려 하거나 전체 시장의 주가 수준에 집중하지 말라 – 대신, 투자하려는 개별 종목에 집중하라”
투자에 대한 추가적인 생각
‘자금을 운용하는 사람의 역할은 상대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가장 수익성이 낮았던 해의 이자보상배율을 보아라’
‘[경영의 질을 판단할 때] 회사 보고서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면 부정적인 신호로 봐야한다. 결과와 함께 문제점들도 같이 언급되어야 한다. 그리고 적어도 1년치의 직원 급여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단기적으로 주가는 투자심리의 영향을 받으며, 장기적으로는 가치가 중요하다’